부의금 조의금 차이 그리고 액수 관련해서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결혼식에 참여해서 내는 돈은 축의금입니다.
축하하는 자리이니 축의금을 낸다고 기억하시면 되고 장례식에 참석해서 내는 돈은 조의금입니다.
부의금이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는데 같은 의미이긴 하지만 보통은 조의금이라는 말을 더 많이 씁니다.
결혼식이나 돌잔치, 장례식 등에서 내는 돈은 부조금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니까 뭔지 잘 모르겠다 싶으면 그냥 부조금이라고 불러도 되고 이제 결혼식이나 장례식을 구분해서 말하려면 결손식은 축의금, 장례식은 조의금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쨌거나 장례식에서 부의금을 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니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 부조금 : 축하의 의미나 애도의 의미로 내는 돈(중립적인 개념)
- 축의금 : 결혼식에 방문해서 내는 돈
- 조의금 : 장례식장에 방문해서 내는 돈
- 부의금 : 장례식장에 방문해서 내는 돈(보통은 조의금을 더 자주 씀)
장례식장에서 조의금을 낼때는 봉투가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방명록에 이름을 적고 봉투 뒷면 왼쪽 하단에 세로로 자신의 이름을 쓰면 됩니다.
봉투의 입구는 접지 말고 그냥 그대로 투입함에 넣으면 되며 금액은 보통 홀수 단위로 내고 10만원 단위로도 냅니다.
조의금 액수
요즘 물가가 올라서 결혼식에 참석해도 축의금으로 10만원은 내야한다는 말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그건 축의금이라 그런거고 장례식장에 가서 내는 조의금은 5만원도 충분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마음의 표시로 내는 돈이기 때문에 그리 큰 금액을 낼 필요는 없다는 소리입니다.
결혼식은 식대가 워낙 비싸니 5만원을 내면 약간 눈치가 보이긴 하지만 장례식장은 준비되어 있는 음식을 드리는 거고 1인당으로 식대를 계산해봐도 보통 3만원이 넘지 않기 때문에 5만원만 내도 충분합니다.
부의금 5만원 내고 욕먹은 사건
최근 한 커뮤니티에는 직장 상사의 외할머니 장례식에 참석해서 부의금을 5만원 내고 왔더니 이후 사무실에서 요즘 밥값도 올랐는데 10만원을 내는 사람이 없냐며 화를 냈다는 글이 올라왔었습니다.
장례식까지 참석해서 조문을 하고 왔는데 돈 적게 냈다고 화를 내는 사람은 처음 봤다며 요즘 장례식 비용이 코로나 이전보다 크게 올랐는지 요즘은 부의금을 10만원 이상 내는 게 최소한의 예의인지 궁금하다는 글이었습니다.
그에 대한 댓글로는 직장 상사가 이상하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는데 외할머니의 장례식까지 찾아와준 동료들에게 고맙다는 전화를 돌린 것도 아니고 돈 적게 냈다고 화를 내는 건 사람 자체가 이상한 것 같습니다.
부모상도 아니고 조부모상까지 챙기는 거면 고맙다는 말이 먼저 나올텐데 돈 적게 냈다는 말이 먼저 나오는 사람은 아무리 직장 상사여도 친분을 유지하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들 중에서도 혹시나 5만원은 너무 적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면 그 생각은 속으로만 하시고 겉으로는 와줘서 고맙다는 말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부의금 조의금 차이 그리고 액수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히 해봤는데 다들 잘 확인하셔서 혼동하는 일 없으시기 바랍니다.